 |
현재의 단일 접합 (Single junction) 태양전지에서는 밴드갭 (Bandgap: Si의 경우 약 1.1 eV) 보다 장파장의 태양 복사에너지는 태양전지에 흡수되지 않고 통과하고, 밴드갭보다 짧은 파장의 복사 에너지만 흡수되어 발전에 기여하는데, 이때 밴드갭보다 큰 여분의 에너지는 열로 바뀌어 소실된다. 따라서 태양전지의 광전 변환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파장대별로 태양광 복사 에너지를 흡수?변환할 수 있도록 밴드갭 크기에 따라 태양전지를 다층 구조로 설계, 제조하여야 한다.
Top cell에서는 우선 변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wide bandgap 소재를 찾아내는 것이 핵심이다. 이에 적합한 I-III-VI2 계 화합물로는 CuGaSe2, CuGa(Se,S)2, cuinal(Se,s)2 가 해당되며 이밖에 I-II-IV-VI, II-VI 족 화합물 등이 후보군에 들어간다.
Co-evaporation 공정으로 1.7- 1.8 eV 정도의 넓은 밴드갭을 가진 CuGaSe2를 기본으로 Se의 일부를 S로 대체 [CuGa(S,Se)2] 하거나 동시에 Ga의 일부를 In, Al으로 대체하는 5-6원 화합물 [CuInAlGa(S,Se)2]의 광흡수층 개발과 함께 태양전지 소자를 제조하여 2030년까지 변환효율 22%를 목표로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