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발전소 관련기사

국내 태양광 기술 현황

SOLAR TRADE 2007. 1. 29. 16:53
반응형
국내기술현황
 

□ 결정질 실리콘 분야는 기업이 주도하여 개발해 왔으며 선진국 대비 80%에 근접
□ 결정질 실리콘의 경우 보급을 위한 양산기술은 외국 설비에 의존하고 있음

□ 박막형 실리콘 태양전지는 대학이나 연구소의 실험실에서 소면적의 태양전지를 연구하는 수준임

□ 화합물 태양전지의 경우 국책 연구소나 학교의 실험실에서 소면적으로 개발됨

□ 연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국가 출연 연구소에서 주도적인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고 10여개의 대학에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유기태양전지의 경우 국내 연구는 비교적 늦게 시작되었지만 최근 여러 대학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 ‘70년대 초부터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기초연구를 시작한 이래 ’88년부터 본격적으로 대체에너지기술개발 수행

○ 태양광에너지 기술개발 투자실적 (‘88~2002)
- 태양광기술개발 투자비 과거 15년동안 329억원 (정부 194억원, 민간 135억원) 지원
☞ 일본의 2002년도 PV 기술 연구개발 투자비 2,300억원에? 비해 매우 적은 수준임

 

기술개발 성과분석
 

○ 태양전지, 태양광발전용 연축전지 성능개선, 태양광발전용 직?교류 변환장치의 국산화 등 핵심 요소기술은 확보
- 반도체기술을 바탕으로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의 기술개발은 세계 최고수준, 공인효율 20.5% 달성 (공인기관: 독일 Fraunhofer 연구소)
○ 실용화를 위한 양산기술 및 시스템이용기술은 선진국 대비 70% 수준
- 포톤반도체에너지, 네스코쏠라,? 삼성 SDI 등이 생산능력을 확보하였으나, 소량생산으로 인해 생산원가가 높은 실정
☞ 선진국의 최소 경제 규모인 연산 20~30 MWp에 비해 규모가 작고 대부분의 제조 설비도 수입하여 공정 조건을 최적화 하는 단계로 품질 및 제조원가 측면을 기술적 경쟁력을 보유하지 못한 단계임
-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 분야를 한 과제로 종합 추진함에 따라 목표 달성 여부의 평가가 어렵고 과제 관리 및 결과 활용의 불투명성 증대
☞ 제품 및 기술의 특성에 따라 세분화 된 기술개발 과제로 추진하여 기술개발 성과가 직접 상용화로 유도되도록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