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정질 실리콘 분야는 기업이 주도하여 개발해 왔으며 선진국 대비 80%에 근접 □ 결정질 실리콘의 경우 보급을 위한 양산기술은 외국 설비에 의존하고 있음
□ 박막형 실리콘 태양전지는 대학이나 연구소의 실험실에서 소면적의 태양전지를 연구하는 수준임
□ 화합물 태양전지의 경우 국책 연구소나 학교의 실험실에서 소면적으로 개발됨
□ 연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국가 출연 연구소에서 주도적인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고 10여개의 대학에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유기태양전지의 경우 국내 연구는 비교적 늦게 시작되었지만 최근 여러 대학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 ‘70년대 초부터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기초연구를 시작한 이래 ’88년부터 본격적으로 대체에너지기술개발 수행
○ 태양광에너지 기술개발 투자실적 (‘88~2002) - 태양광기술개발 투자비 과거 15년동안 329억원 (정부 194억원, 민간 135억원) 지원 ☞ 일본의 2002년도 PV 기술 연구개발 투자비 2,300억원에? 비해 매우 적은 수준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