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태양 에너지를 활용한 전기 자동차 | |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9-04-17 | |
또한 차량에 부착된 태양전지로부터 에너지를 수확하여 차량이 주차하는 동안 팬을 작동하는 정도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아니지만 투명광전지로 에너지 수확 능력이 개선되어 자체적인 에너지 공급원으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러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순수하게 자체적인 전기로 움직이는 자동차 그리고 기타 차량 기술을 향상시키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순수한 전기자동차는 친환경적이며, 그리드 전력으로 깨끗하면서도 에너지를 절약한다. 토리노에서 연평균 일사량으로 이러한 태양전지는 3.8kWh/㎡의 전력을 생산하는데, 기존 기술은 1.8 kWh/일(657 kWh/년) 이다. 피아트의 푼토 전기자동차 657kWh/(150Wh/km)= 4380 km/year 피아트의 팬더 전기자동차 657kWh/(130Wh/km)= 5053 km/year 피아트의 마이크로 전기자동차 657kWh/(80Wh/km)= 8212 km/year 토리노에서는 차고 위의 2KWp 태양전지 패널로 연간 2200kWh를 생산한다. Punto 전기자동차 1540kWh/(150Wh/km)=10.266 Km/year Panda 전기자동차 1540kWh/(130Wh/km)=18.846 km/year Micro 전기자동차 1540kWh/(80Wh/km)=19.250 km/year 2015년이면 단결정 실리콘 모듈이 22% 이상의 효율을 달성하고, 다결정 실리콘의 생산 코스트는 와트당 1.4 달러로 2015년에 절반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기존의 태양광 발전 패널은 효과적이지 않았지만 강하고, 가벼우면서 천장이나 바디에 삽입 가능하고 적은 빛에서도 효율을 좋게 하도록 개선되고 있다. |
반응형
LIST
'생활속의 태양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 아끼자” 녹색 아파트 눈길끄네 (0) | 2009.05.25 |
---|---|
세계 최초 '태양광 전기 오토바이' (0) | 2009.05.19 |
태양광 발전 아파트 서울에 첫 등장 (0) | 2009.04.28 |
에너지빈곤층 돕는 '송파나눔발전소' 현판식 (0) | 2009.04.23 |
서산 간월호에 태양광발전 공중화장실 (0) | 2009.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