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현황
- 미국은 첨단기술의 전략적 개발과 시장개척 및 상업화 지원
- 100만호 Solar-roof 주택 보급사업 등에 의해 2002년까지 212MW 보급
- 일본은 정부주도의 상용화 기술개발과 보급촉진 및 수출시장 확대
- 태양전지 원료의 저가화 및 신형 태양전지 개발
- 3kW 주택용 태양광발전시스템 보급사업 등 2002년도까지 637MW 보급
- 유럽은 분야별 컨소시움 또는 EC를 통한 기술개발및 실증시험등 공동수행
- 복합기능 태양전지 모듈개발 및 복합 발전시스템 실용화
- 태양전지 모듈과 시스템의 실증시험 및 규격화 등 국가별, 공동체별 사업 수행중
- 2002년까지 독일은 277MW, 이태리 22MW 등을 보급
- 선진국에서는 보급 프로그램과 병행하여 기술개발을 종합적으로 추진
- 세계시장은 1995년 이후 연평균 33% 이상의 급신장추세
- 1995년 77.6MW, 1999년 201.3MW 생산
- 2002년말 562MW 생산
- 일본 251.1MW, 유럽 135.1MW, 미국 120.6MW로 대부분 차지
 국내현황
 사업비 지원현황
- '88년부터 2005년까지 태양광분야에 94개과제에 77,552백만원을 투자하였으며
그중 51,979백만원을 정부에서 지원
구분\년도 |
'88∼'98 |
'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계 |
과제수 |
신 규 |
44 |
3 |
3 |
6 |
4 |
7 |
22 |
5 |
94 |
계 속 |
70 |
3 |
4 |
6 |
5 |
6 |
2 |
17 |
113 |
계 |
114 |
6 |
7 |
12 |
9 |
13 |
24 |
22 |
207 |
사업비(백만원) |
정 부 |
10,474 |
822 |
1,815 |
4,917 |
4,736 |
5,076 |
9,140 |
14,999 |
51,979 |
민 간 |
9,893 |
354 |
637 |
1,938 |
1,899 |
1,916 |
3,564 |
5,372 |
25,573 |
계 |
20,367 |
1,176 |
2,454 |
6,855 |
6,635 |
6,992 |
12,704 |
20,371 |
77,552 |
 기술개발 현황
- '70년대 초부터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연구fmf 시작하여 '88년부터 대체에너지개발
촉진법에 따라 정부차원에서 기술개발
- 저가화와 효율향상을 위한 태양전지 제조기술개발 및 시스템 이용기술개발을 병행하여 추진
- 실리콘계 태양전지
- 결정질 실리콘계 태양전지(기판형)는 시스템화 연구를 통해 상품화단계
- 다결정질 실리콘 박막형태양전지는 기초연구단계로 요소기술을
확보하였으나 상품화를 위한 제조설비의 투자비 과다로 사업화가 미진행된 상태임
- 화합물계 태양전지
- 결정화합물계 Ⅲ-Ⅵ족 (CdTe, CuInSe2 등) 태양전지는 효율이 높은 것이
장점이나 저가화, 대면적화가 문제로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한 기초 요소연구를 수행
- 미래 박막형 태양전지로서 실용화를 위한 요소기술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추진
- 화합물 반도체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에서 기반기술 확보 수준
[태양광분야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 기본계획]
제 1단계(2003∼2006) 보급촉진형 기술개발 |
제 3단계(2006∼2009) 댜량보급형 기술개발 |
제 4단계(2009∼2012) 저가상품화 기술개발 |
- 주택보급형 3kW급
시스탬 개발
- 건물, 상업용 10kW급
시스탬 개발
- 태양전지 저가화,
고신뢰성 제품 및 양산체제 확립 |
- 결정질 초박형
태양전지 기술개발
- 차세대 박막 태양전지
기술개발
- 태양전지 발전시스템
보급형 유니트화 개발 |
- 결정질 초박형 태양전지 상용화
기술개발
- 차세대 박막 태양전지 상품화
기술개발
- 태양광발전시스템 보급형 패키징
상품화 기술개발 |
 향후 기술개발 추진계획
- 실리콘계 태양전지분야는 저가, 고효율화를 위한 기술개발 추진
- 화합물계 등 차세대 태양전지는 대면적화, 실용화를 위한 요소기술개발 및
시스템화를 위한 연구 추진
- PCS의 경량화 및 고효율화, BIPV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상용화 기술 개발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