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도체 · 車 다음은 첨단소재 · 문화콘텐츠다!
[아시아경제 2007-12-21 11:05:31]
|
첨단소재...유화업계 내수 불활 타개위해 역점 문화콘텐츠...年 10%성장 시장규모 70조 육박
아시아경제가 최근 학계, 경제계, 등 각계 전문가 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새 정부의 정책 아젠다에 대한 인식조사'에서 경제 전문가들은 '미래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차기 정부가 정책을 집중시켜야 할 분야'로 '첨단소재산업(31명)'과 '문화콘텐츠산업(29명)'을 꼽았다. 경제전문가들은 현재 한국의 캐시카우 역할을 하고 있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자동차와 선박 등을 대체할 새로운 성장 동인(動因)이 절실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첨단소재가 미래다'.. 기업들 앞다퉈 진출 차기 정부가 집중 육성해야 할 산업 분야로 첫 손가락에 꼽히고 있는 것이 첨단소재 산업이다. '에너지', '생명공학' 등 첨단소재 산업이 정체 상태에 빠진 한국 경제의 성장을 견인할 확실한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몇몇 기업들은 이미 수 년 전부터 첨단소재 산업을 미래의 성장 동력으로 확신하고, 집중 육성하고 있다. 이 같은 트렌드는 삼성석유화학, 코오롱, 효성 등 내수 시장의 성장이 한계에 부딪힌 석유화학 업계에서 특히 두드러지고 있다. 삼성석유화학은 태양광 전지의 핵심소재인 '폴리실리콘' 연구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삼성은 최근 중앙연구소를 설립했다. 이를 토대로 고순도 테레프탈산(PTA) 이외의 신규 사업에 진출할 계획도 갖고 있다. 코오롱그룹은 '태양광'과 '물' 등 환경"에너지 관련 사업을 그룹의 신성장 동력으로 선정하고 본격 추진에 나섰다. 코오롱은 태양광 에너지 전 분야와 상하수도 파이프에 사용되는 '고강도 유리섬유 복합관' 사업에 그룹의 기술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효성 역시 최근 한국서부발전으로부터 수주한 삼랑진 태양광 발전설비 1단계 건설을 완료하는 등 태양광 사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한 '클린 에너지기업'으로의 비전을 밝힌 바 있다. 최근 경영 일선에 복귀한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은 미국의 산업용 첨단소재 산업 인수 추진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 10% 성장, 문화콘텐츠 산업을 잡아라 문화콘텐츠 산업은 더 이상 유망주에 머무르는 산업군이 아니다. 이미 국내 시장 규모는 이미 2006년 기준 70조원에 달하며, 세계 시장 규모는 무려 1조3700억달러에 이를 정도로 성장했다. 특히 매년 10% 이상 급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문화콘텐츠 시장은 글로벌 기업들의 각축장이 된 지 오래다. 하지만 국내 기업들의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투자는 인색하기 짝이 없었다. 한류 열풍이 있었지만, 산업에 접목시켜 큰 수익을 올리지는 못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이유를 정부의 무관심에서 찾는다. 해외시장에 대한 정보 제공, 수출금융 확대 등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부족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국내 기업 중에선 대성그룹 정도가 문화콘텐츠 산업 분야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본업이 에너지인 대성그룹은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문화콘텐츠 산업을 꼽고, 본격적인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대성그룹은 지난 2001년에는 바이넥스트창업투자를 인수해 '웰컴투 동막골', '괴물', '타짜' 등의 히트작에 투자했고, 이듬해에는 대성닷컴을 출범시키며 출판업에도 뛰어들었다. 최근에는 그룹 창립 60주년을 기념해 서울 상암동 DMC문화콘텐츠센터에서 '글로벌 콘텐츠 포럼'을 열어 문화 콘텐트 산업의 해외 트렌드를 살피기도 했다. 대성그룹은 2005년 전략적 제휴를 한 뉴질랜드 영화사 파크로드포스트를 통해 '반지의 제왕' '킹콩'으로 유명한 세계적 감독 피터 잭슨과의 협력도 강화해 왔다. 재미있는 사실은 최근 신수종 사업 발굴을 위해 혈안이 돼 있는 삼성그룹이 이미 10여년 전인 1995년에 영상사업단을 만들어 문화콘텐츠 산업에 뛰어든 전력이 있다는 것. 당시 삼성영상사업단은 안팎에서 600명의 인재를 끌어 모으며 화려하게 시작했지만, 외환위기 등의 파고를 견디지 못하고 99년말 '쉬리'를 끝으로 해체된 바 있다. 전경련의 고위 관계자는 "새 성장동력 발굴은 대한민국이 앞으로 생존해나가기 위해 반드시 이뤄야 할 과제가 되고 있다"며 "새 정부와 재계가 성장동력을 위해 총체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
반응형
'생활속의 태양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 태양광 발전 시뮬레이션 (0) | 2008.01.03 |
---|---|
[진도군청] 진도군, 조도 외병도 전력부족 "이젠 괜찮아요" (0) | 2007.12.25 |
‘교회도 에너지 절약 동참’ 내복 입기·태양광 발전기 설치 등 (0) | 2007.12.04 |
"햇빛에너지 비웃는 사람들, 귀 열고 눈 떠요" (0) | 2007.11.23 |
[세계는 지금 자원패권시대] <1>자원확보가 국력 (0) | 2007.11.22 |